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1000만 명에 육박하는 초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웰빙 만큼이나 웰다잉, 그러니까 품위있게 생을 마감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> <br>해외에는 이미 안락사를 허용한 국가들도 있는데, 종교, 윤리, 의학 차원에서 여전히 뜨거운 논쟁거리입니다.<br> <br>세계를보다, 김용성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에콰도르의 한 루게릭병 환자가 가족의 도움을 받아 가까스로 음료를 마십니다. <br> <br>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사는 것이 쉽지 않다고 느낀 그가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은 안락사였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8월 안락사 허용에 대한 소송을 냈는데, 에콰도르 법원이 이달 7일 안락사 처벌이 위헌이라며 그의 손을 들어줬습니다. <br> <br>[파올라 로단 / 루게릭 환자(안락사 희망자) (7일)] <br>"(승소한) 오늘은 제게 특별한 날입니다." <br> <br>이로써 에콰도르도 사실상 안락사 허용국이 됐습니다. <br> <br>[라미로 아빌라 / 변호인] <br>"파올라를 안락사 시키는 의사도 형사 처벌 및 법적 책임을 지지 않게 됐습니다." <br><br>무의미한 치료를 하지 않는 '연명치료중단'나 약을 처방해주는 '의사조력자살'이 의료진의 관여가 간접적이라고 한다면 안락사는 의료진이 직접 환자의 생명을 끊는다는 점에서 매우 직접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현재 안락사 허용국은 최소 11곳으로 파악됐는데요, 점점 늘고 있습니다.<br><br>최근 안락사에 대한 관심을 다시 일으킨 것은 네덜란드의 전 총리 드리스 판아흐트였습니다. <br> <br>2019년 뇌졸중으로 쓰러졌고 부인 역시 급격히 건강이 악화되면서 아내와 안락사를 택한 겁니다. <br><br>세계 첫 안락사 합법국인 네덜란드에선 2022년 기준 전체 사망자의 5.1%, 8700여 명이 안락사로 생을 마감했습니다.<br><br>같은 해, 동반 안락사 사망은 29쌍, 58명으로 나타났습니다.<br> <br>다만 안락사 대상 연령이 낮아지고 있다는 것은 눈여겨볼 만 합니다. <br> <br>벨기에에선 불치병을 앓고 의료진과 부모가 동의한 경우에 한해 미성년자에게도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는데, 10년 간 5명이 <br>안락사로 생을 마감했습니다. <br> <br>[재클린 해러먼스 / 벨기에 안락사 평가통제 위원장] <br>"(미성년자까지 늘리는 것이) 아주 기쁜 일은 아니었습니다. 부모 중 단 한 명만 반대해도 진행하지 않습니다. 지금까지 미성년자 안락사가 단 5건 뿐이었다는 것이 다행이라 생각합니다." <br> <br>그럼에도 논란은 여전합니다. 2018년 네덜란드에서는 의사가 환자와 충분한 상의 없이 안락사를 시행했다며 의사가 기소되는 일도 벌어졌습니다. <br> <br>궁극적으로는 '안락사 허용'이 생명 경시 풍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재클린 해러먼스 / 벨기에 안락사 통제평가 위원회] <br>"법적 소송에 휘말리거나 기소가 된 안락사 사건들도 적지 않습니다. 남용까지는 아니지만 실수는 나올 수 있습니다." <br> <br>시대의 흐름과 맞물려 본인의 마지막을 정할 권리를 보장하는 게 맞는지, 또 옳은 방법은 무엇인지 세계가 고민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 김용성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장세례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